본문 바로가기
부동산학

돈암동 한신·한진 아파트, 지금 투자해도 괜찮을까? – 입지, 개발호재, 수익률 분석

by goodsen2000 2025. 5. 7.
반응형

서울 성북구 돈암동은 오랜 시간 동안 정주성이 강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들어 재개발·재건축 관심이 커지면서 투자처로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 돈암동 한신·한진 아파트는 비교적 구축이지만, 역세권 입지, 주변 인프라, 잠재 개발 가능성 등으로 인해 중장기 투자처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돈암동 한신·한진 아파트의 투자 가치를 심층 분석해보며,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실거주 및 투자 목적에 맞는 전략을 제안해드립니다.


✅ 돈암동 한신·한진 아파트 기본 정보

항목                                                      내용

 

위치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625번지 일대
준공년도 1986년 (한신), 1987년 (한진)
세대수 총 약 800세대 이상
전용면적 59㎡, 84㎡ 등 실수요형
용적률/건폐율 150% 내외 / 20~25%
건축 구조 철근콘크리트 / 저층 위주 (5층 내외)
 

구조와 연식은 재건축 가능성에도 영향을 주는 요소입니다.


🧭 입지 분석 – "진짜 도심에 있다"

1. 더블역세권

  •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 도보 3~5분
  • 우이신설선 보문역, 성신여대입구역 인접

2. 생활 인프라

  • 성신여대 로데오 상권 이용 가능
  • 돈암시장, 현대백화점 미아점 차량 5~10분
  • 성북천 산책로, 한성대입구 숲세권

3. 교육 인프라

  • 돈암초, 정덕초, 정덕여중, 성신여대 등
  • 학부모 실거주 수요 꾸준함

핵심: 도심 속 주거지로서 희소성이 높습니다.


🏗️ 개발 호재 및 이슈

1. 재건축 추진 가능성

  • 30년 이상 경과 → 정비사업 요건 충족
  • 주민들 사이에서도 의견 수렴 및 동의 절차 일부 진행 중
  • 인근 돈암동 돈암그린맨션, 길음뉴타운 개발 사례 존재

2. 성북구의 도심재정비사업 방향

  • 성북구청은 2024년부터 노후주거지 중심의 ‘도심형 정비계획’ 추진
  • ‘모자이크형 도시재생’ 전략에 따라 해당 지역 재정비 가능성↑

3. 교통망 추가 개선

  • 동북선 경전철 (2026년 예정) 개통 시 접근성 더 향상

📈 시세 및 수익률 분석

▷ 2025년 4월 기준 실거래가 (59㎡ 기준)

거래시점                                      거래가                                             비고

 

2024.12 약 6.9억 전세 3.1억 수준
2025.02 약 7.1억 역세권 실수요 반영
2025.04 약 7.2억 유지 중
 

실거래 기준 전세가율 약 43~46%, 보수적인 관점에서는 수익형보단 시세차익형 투자에 적합


💡 투자 전략 제안

🔵 단기 투자자

  • ★★★☆☆
    👉 매수보다는 재건축 신호 이후의 상승 초입 타이밍 노리는 것이 안전
    👉 단기차익보다는 3~5년 중기 시야 필수

🔵 실거주 겸 투자

  • ★★★★☆
    👉 직장 출퇴근, 학군, 인프라 등 실생활 만족도 높음
    👉 재건축 기대감 + 도심 희소성 → 장기적 자산 방어 가능

🔵 장기 투자자

  • ★★★★★
    👉 향후 도시정비사업, 재건축 가시화 시 큰 시세차익 가능
    👉 '서울 도심 내 마지막 남은 저밀도 주거지’로서 입지 프리미엄 잠재력 있음

🚨 유의사항

  • 아직 재건축 구체계획은 없음 → 투자 시 리스크 감수 필요
  • 교육·교통 좋지만, 주차·단지 내 노후화 문제 존재
  • 인근 길음뉴타운과의 비교로 상대적 저평가일 수 있으나, 개발 속도는 느림

🏁 결론

돈암동 한신·한진 아파트는 ‘서울 도심 내 중장기 투자처’로 주목할 만한 단지입니다.

특히 실거주 수요가 꾸준하고, 향후 재건축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면 장기적 가치 상승이 기대되는 지역입니다. 다만, 투자 목적이라면 철저한 타이밍 관리와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며, 재건축 진행 추이를 예의주시해야 합니다.

반응형